반응형 철학블로그3 플라톤, 아름다움의 진짜 얼굴을 묻다. '미'와 '진리'를 사랑한 철학자의 이야기우리가 보는 게 전부일까?SNS 속 사진 한 장. 반짝이는 여행지. 감각적인 색감, 완벽하게 세팅된 카페 테이블. 우리는 스크린을 내리며 속삭입니다. "아 예쁘다, 나도 가보고 싶어" 하지만 문득 이런 생각이 들 때가 있지 않으신가요? '진짜 아름다움은, 이 화면 너머 어딘가에 있는 게 아닐까?'2,400년전, 이런 질문을 던진 철학자가 있었습니다. 그의 이름은 플라톤(Plato).그는 '아름다움'에 대하여 누구보다 깊이 고민한 사람이었죠. 플라톤은 누구인가?플라톤은 기원전 427년경, 고대 그리 아테네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철학 인생은 스승 소크라테스와의 만남으로 시작되었죠. 소크라테스가 처형된 이후, 플라톤은 스승의 사상을 정리하고, 철학을 통하여 정의로운 .. 2025. 4. 10. 논리학 논리학: 생각하는 법을 배우는 철학의 기술우리는 하루에도 수없이 많은 생각을 한다. 어떤 문제를 해결하거나, 누군가와 토론을 하거나, 뉴스를 읽고 판단을 내릴 때 우리는 자신도 모르게 추론(logic)을 사용한다. 그렇다면 잘 ‘생각한다’는 것은 무엇일까? 그리고 우리가 하는 생각은 항상 올바른가?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한 학문이 바로 논리학(logic)이다. 논리학은 생각을 분석하고 평가하며, 설득력 있는 주장을 구성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철학의 한 분야다. 다시 말해, 논리학은 우리가 어떻게 하면 ‘이성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지를 알려주는 도구라고 할 수 있다.1. 논리학의 기초: 명체와 추론논리학의 가장 기초적인 단위는 명제(proposition)입니다. 명제란 참(True) 또는 거짓(False).. 2025. 4. 5. 사회 철학 우리는 어떻게 함께 살아갈 것인가?사회 철학우리는 누구나 사회 속에서 살아간다. 태어나는 순간부터 우리는 가족, 학교, 공동체, 국가라는 다양한 사회적 구조 속에 속하며, 이러한 틀 안에서 가치관을 형성하고 삶의 방향을 결정한다. 사회 철학은 바로 이러한 '함께 사는 삶'에 대해 질문하는 철학이다. 우리는 어떻게 더 나은 공동체를 만들 수 있을까? 정의란 무엇인가? 자유와 평등은 양립 가능한가? 사회 철학은 이러한 근본적인 물음들에 대해 깊이 있는 사유를 통해 답을 찾고자 한다. 사회 철학의 핵심 개념 중 하나는 ‘정의’다. 고대 철학자 플라톤은 국가론에서 정의를 ‘각자가 자신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는 것’으로 보았다. 그는 이상국가를 위해 각 계급이 제 역할을 다해야 한다고 믿었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 2025. 4. 5. 이전 1 다음 반응형